미네르비아 제1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도미티아누스 황제 치세인 82년에 창설되어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지휘하기도 했다. 본나를 주둔지로 삼았으나, 벡실라티오(하위 부대)는 제국 곳곳에 파견되었다. 2세기 말과 3세기의 내전 동안 여러 황제를 지지했으며, 353년 프랑크족의 공격으로 본나가 파괴된 후 역사에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네르비아 제1군단 | |
---|---|
군단 정보 | |
![]() | |
존속 기간 | 기원후 82년 ~ 4세기 |
충성 대상 | 로마 제국 |
병종 | 군단병 |
규모 | 약 5,000명 (정규 군단) |
별칭 | Pia Fidelis Domitiana (도미티아누스에게 충성스럽고 헌신적인) Pia Fidelis (충성스럽고 헌신적인) |
수호신 | 미네르바 |
주둔지 | 기원후 83년 ~ 89년: 본 기원후 89년 ~ 4세기: 본, 도이츠 |
참전 | 카티족과의 전쟁 도미티아누스의 다키아 전쟁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마르코만니족 전쟁 페르티낙스 내전 클라우디우스 알비누스 내전 |
상세 정보 | |
창설 | 기원후 82년 |
창설자 | 도미티아누스 황제 |
해체 | 4세기 초 |
2. 역사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다키아 전쟁 참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주둔, 제국 각지 파견, 내전 시기 활동 등 다양한 시기를 거쳤다.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원정(101-106년)에 참전하여 로마의 트라야누스 원주에 그 상징이 새겨질 정도로 활약했다. 이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본나(오늘날의 본)에 주둔하며 울피아 빅트릭스 제30군단과 함께 지역 방어와 건설 임무를 수행했다.
군단의 일부 병력(벡실라티오)은 제국 각지로 파견되어 파르티아 제국, 마르코만니족과의 전쟁, 갈리아 벨기카 지역의 카우키족 진압, 루그두눔 수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2세기 말과 3세기 내전 시기에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엘라가발루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갈리아 제국 등 여러 황제들을 지지하며 칭호를 받기도 했다. 353년 프랑크족의 침입으로 본나가 파괴되면서 군단의 행방은 묘연해졌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01년과 106년 사이에, 미래의 황제인 하드리아누스의 지휘를 받았던 미네르비아 군단은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다.[1] 미네르바의 형상이 있는 군단의 상징물이 로마의 트라야누스 원주에 다른 군단의 상징과 더불어 나타나 있다.[1] 다키아 전쟁이 종전된 후,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본나(오늘날의 본)에 있는 기지로 복귀하였다.[1] 울피아 빅트릭스 제30군단과 함께 ‘제2 카스트라 베테라’(Castra Vetera II, 오늘날 크산텐)에 배치되었던 미네르비아 군단은 다양한 군사 및 건설 활동과 더불어 채석장에서 돌을 캐는 일 등을 수행했다.[1]2. 2. 다키아 전쟁 참전
101년과 106년 사이에, 미래의 황제인 하드리아누스의 지휘를 받으며 미네르비아 군단은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다. 미네르바의 형상이 있는 군단의 상징물이 로마의 트라야누스 원주에 다른 군단의 상징과 더불어 나타나있다.2. 3.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주둔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전쟁 (101년-106년) 이후,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본나 기지로 복귀하였다.[1] 울피아 빅트릭스 제30군단과 함께 오늘날 크산텐인 ‘제2 카스트라 베테라’(Castra Vetera II)에 주둔하며, 다양한 군사 및 건설 활동, 채석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1]2. 4. 제국의 여러 지역에 파견
군단의 ‘벡실라티오’ (하위 부대)는 로마 제국의 여러 지역에 파견되었다.기간 | 사건 | 지휘관 | 비고 |
---|---|---|---|
162년–166년 | 파르티아 제국과 전쟁 |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 | [1] |
166년–175년 178년–180년 | 마르코만니족과 전쟁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 [1] |
173년 | 갈리아 벨기카 지역의 카우키족과 전쟁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총독 | [1] |
198년–211년 | 루그두눔 수비 | 갈리아의 수도 [1] |
2. 5. 내전 시기의 활동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엘라가발루스([Antoninianala]), 알렉산데르 세베루스([Severiana Alexandrianala])를 지지했으며, 갈리아 제국(260년-274년)을 지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여러 칭호를 받았으나, 이들 황제가 몰락한 후에는 칭호가 폐지되었다.[10]황제 | 비고 |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
엘라가발루스 | ‘[Antoninianala]’ 칭호 수여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Severiana Alexandrianala]’ 칭호 수여 |
갈리아 제국 | 260년-274년간 지지 |
2. 6. 군단의 종말
353년경 본이 프랑크족의 공격으로 파괴되면서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역사 기록에서 사라졌다.[1] 군단이 전투에서 궤멸되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해산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1]3. 확인된 인물
미네르비아 제1군단에서 복무한 것으로 확인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계급 | 시기 | 속주 | 출처 |
---|---|---|---|---|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호노라투스 |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 138년 이전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11], [12] |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90년경 | 다키아 | |
루키우스 안니니우스 섹스티우스 플로렌티누스[12]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1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알부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15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파비아누스 막시무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4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퀸투스 안티스티우스 아드벤투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53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9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퀸투스 페트로니우스 멜리오르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3세기 |
이 표에는 군단장(레가투스 레기오니스)을 제외하고,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및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계급을 가진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트리부누스는 로마 군단의 고위 지휘관 직책이다.
3. 1.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군단장)
이름 | 계급 | 시기 | 속주 | 출처 |
---|---|---|---|---|
퀸투스 소시우스 세네키오[7]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93년경 | ||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03-106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하드리아누스편, 3 |
마르쿠스 폰티우스 라일리아누스[8]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38년경-141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풀라이에누스 가르길리우스 안티쿠스[8]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55년경-158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프론토[8]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62-165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게니알리스[8]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66/169년 혹은 177/180년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프로쿨루스[9]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80/185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클라우디우스 스트라토니쿠스[9]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84-186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IGRR IV.570 |
클라우디우스 아폴리나리스[9]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87-189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 플로티누스[9]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90년과 192년 사이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퀸투스 베니디우스 루푸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루키우스 칼비니아누스[9]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93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티투스 플라비우스 세쿤두스 필리피아누스[9]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94-195/196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가이우스 율리우스 셉티미우스 카스티누스[10]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205년경 혹은 208년경 | ||
가이우스 파비우스 아그리피누스[10]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211년경 | ||
아우피디우스 코레시니우스 마르켈루스[10]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222-224년 | ||
마르쿠스 마리우스 티티우스 루피누스[11]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231년 | , | |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호노라투스 |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 138년 이전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90년경 | 다키아 | |
루키우스 안니니우스 섹스티우스 플로렌티누스[12]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1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알부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15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파비아누스 막시무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4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퀸투스 안티스티우스 아드벤투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53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9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퀸투스 페트로니우스 멜리오르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3세기 |
3. 2. 트리부누스 (지휘관)
wiki이름 | 계급 | 시기 | 속주 | 출처 |
---|---|---|---|---|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호노라투스 |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 138년 이전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11], [12] |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90년경 | 다키아 | |
루키우스 안니니우스 섹스티우스 플로렌티누스[12]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1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알부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15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파비아누스 막시무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4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퀸투스 안티스티우스 아드벤투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53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90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퀸투스 페트로니우스 멜리오르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3세기 |
참조
[1]
논문
Sura and Senecio
https://www.jstor.or[...]
1970
[2]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3]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1989
[4]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5]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6]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1981
[7]
논문
Sura and Senecio
https://www.jstor.or[...]
1970
[8]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9]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1989
[10]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11]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12]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